반응형

최근 금리 상승과 물가 인상 등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안전하고 수익성 있는 투자처를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특히 ELS(주가연계증권)와 ELB(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ELS와 ELB는 모두 주가와 연동되어 수익이 결정되는 구조를 가진 금융상품입니다. 그러나 두 상품은 위험과 수익성 측면에서 차이가 있어 투자자의 성향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ELS ELB 뜻 설명 장점 단점 비교 차이 총정리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ELS 뜻 설명

ELS는 Equity Linked Securities의 줄임말로, 주가연계증권을 의미합니다. 주가지수나 개별 종목의 주가 움직임에 연계되어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투자 손익이 결정되는 구조를 가진 금융상품입니다.

ELS는 대부분 일정 수준 이상 하락하지 않으면 사전에 약속된 수익을 제공하는 형태로 설계됩니다. 일반적으로 기초자산 가격을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조건 충족 시 약정된 수익률로 상환되고, 조건 미충족 시에는 투자를 지속하는 방식으로 운용됩니다.

ELS 장점 단점

ELS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은행 예금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음
  • 저금리 시대에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대안 상품으로 활용 가능
  • 조기상환 조건 달성 시 중도 해지 없이 수익 확정 가능

반면 ELS의 단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 원금 손실의 위험이 있음
  • 기초자산 가격 변동에 따른 수익 변동폭이 큼
  • 만기가 상대적으로 길어 중도 해지 시 손실 발생 가능

ELB 뜻 설명

ELB는 Equity Linked Bond의 약자로,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를 뜻합니다. ELS와 유사하게 주가와 연계되어 수익률이 책정되는 채권형 상품입니다.

그러나 ELB는 투자금 대부분을 안전자산에 투자하고 일부만 위험자산에 투자하는 형태로, 발행사가 신용으로 원금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ELS와 차별화됩니다.

ELB의 수익률은 ELS 대비 다소 낮은 수준이지만, 원금 손실 위험이 상대적으로 적어 안정성 추구 투자자에게 적합한 상품입니다.

ELB 장점 단점

ELB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원금 손실 가능성이 ELS 대비 낮음
  • ELS보다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지님
  • 예금 대비 높은 수익률 달성 가능

반면 ELB의 단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 ELS 대비 수익률이 낮은 편
  • 발행사 부도 시 원금 손실 위험이 존재함
  • 유동성이 부족하여 중도 해지가 어려울 수 있음

ELS ELB 비교 차이

ELS와 ELB의 주요 차이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ELS ELB
상품 유형 주식형 채권형
원금 보장 여부 원금 손실 가능 발행사 신용으로 원금 보장
수익 구조 기초자산 조건에 따라 손익 결정 원금 보장 + 추가 이익
위험 등급 1~4등급 (원금 손실 가능) 5등급 (원금 보장 지향)
수익성 ELB 대비 높음 ELS 대비 낮음

 

ELS는 원금 손실을 감내하고 고수익을 추구하는 상품인 반면, ELB는 원금 보장에 주력하며 안정성을 중시하는 상품입니다. 투자자의 리스크 감수 능력과 수익 추구 성향에 따라 상품 선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요약정리

구분 내용
ELS - 주가연계증권, 주가 연동 손익구조
- 높은 수익률 기대 가능, 원금 손실 리스크 내재
- 기초자산 가격 변동에 따른 수익 변동폭 큼
ELB -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 발행사 신용 원금 보장
- ELS 대비 안정적 수익구조, 수익성은 다소 낮음
- 발행사 부도 시 원금 손실 위험 잔존
비교 - ELS: 원금 손실 가능, 고위험·고수익 지향
- ELB: 원금 보장 추구, 안정성 우선
- 투자자 성향에 따라 선택 달라질 수 있음

결론

ELS와 ELB는 주가 연계 금융상품으로서 위험과 수익성 측면에서 일정한 차이를 나타냅니다. 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는 ELS를, 안정성을 우선하는 투자자는 ELB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다만 ELS와 ELB 모두 예금에 비해 높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상품의 구조와 위험 요인을 충분히 숙지한 후에 투자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울러 개인의 투자 성향과 자금 상황을 감안하여 무리한 투자는 피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ELS와 ELB 투자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이 글이 도움 되셨기를 바랍니다. 이 글이 투자 의사결정에 유용하게 활용되길 희망합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어주신 여러분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